General Knowledge/Convergence (3) 썸네일형 리스트형 과학·기술 발전과 융합혁신 사례에 관한 개인적 견해 *본 자료는 wikipedia 및 여러 기록물들을 참조하여 학술적 수련의 목적으로 개인적 견해를 담은 글입니다.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5세기 이전의 중세시대는 신학 중심의 세상으로, 철학은 신학을 기반으로, 과학은 그 철학을 모태로 구성 및 해석되었다. 당시의 여러 학문분야 (수학, 기하학, 천문학, 음악 등)들은 교회의 신학적 숭배를 주된 목표로 삼았으며, 교회의 지지를 받지못한 학문은 천대와 멸시를 받아왔다. 가장 대표적인 사상으로서 신앙과 이성을 하나의 지성적 체계로 결합하여 만물을 이해하고자 했던 스콜라 철학이 중점적으로 자리잡아, 객관적 사실을 기반으로하는 현시대의 과학 사상은 포용될 수 없었던 과학의 암흑기라고 생각되어진다... 융합과학과 창의성에 관하여 [Ref. 한국 연구재단 융합과학단] 특정 학문 분야에서 기존의 학문적 개념으로 이해, 규명 및 응용하지 못하는 현상들에 대해 여러 학문 분야의 근본적인 개념과 고찰들을 함께 적용하여 통찰력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분야 또는 이를 바탕으로 이해된 현상이나 지식을 인류의 삶에 활용하기 위한 기술 분야를 일컫음. 학제적 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타 분야에 대해 개방적인 다학문 전공의 연구자를 가리킴. "융합과학과 융합과학자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창의성'이다." 수천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인류는 각 시대를 살아가면서 가장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선택들을 통해 지금의 사회를 구축해왔다. 이 선택의 원동력은 개인의 사적인 욕망일 수도 있으며, 사.. What is the 'Convergence'? 그 어느때보다도 빠르게 성장하고 급변화하는 사회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 매일 마주 치는 문제들은 여러 이해관계들이 엮이어 복잡한 상황을 만들어낸다. 사회 및 조직에서 issue가 되는 문제들을 인지하고, 유연한 사고를 바탕으로 최적의 방법을 모색한뒤, 인적화합, 소통, 긍정적 동기부여을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시작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이 물음에서부터 융합 (Convergence)이 시작된 것은 아닌가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이 '융합'이라는 용어에 '과학'과 '기술'이라는 또다른 학술적 용어들이 접목되어, '융합과학기술'이라는 분야가 생겨나기도하는데, 이것은 또 무엇일까? (정의를 내린다는 것이 참 어렵고 신중함을 요하는 작업인것 같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