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9) 썸네일형 리스트형 NumPy 이란? NumPy 는 파이썬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고차원 수치계산을 가능하게끔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이며, 'import numpy as np' 이란 호출명령어로 파이썬 개발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음. 넘파이의 배열은 여러 데이터타입의 데이터를 원소를 가질 수 있는 파이썬 리스트와 달리 동일한 데이터 타입(dtype)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소들을 가지며, 차원의 크기에 따른 정수 인덱싱을 지원함. 배열의 모든 원소가 같은 데이터 타입이므로, 각 원소는 같은 크기의 메모리를 가짐. 대다수의 기본적인 연산에서 'for loop'를 사용하지 않는 element-wise한 연산을 지원하므로 파이썬 리스트기반의 연산보다 빠르게 코드를 구성할 수 있음 (항상 효율적인것은 아님!!). 'np.array( )'를 사용하면 Python.. PyTorch 패키지 구성 PyTorch의 기본적인 패키지 구성은 다음과 같음. 01. 'torch' : 고차원 연산에 가장 기본이 되는 텐서와 같은 수학적 함수들이 내재되어 있음. 02. 'torch.nn' : 인공신경망을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레이어, 아키텍쳐 혹은 손실함수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딥러닝에 관련된 개발을 진행할 시에 항상 호출되는 패키지임. 03. 'torch.autograd' : 미분가능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기본 함수 및 자동미분을 위한 콘택스트 매니저(enable grad)가 포함되어 있음. 04. 'torch.optim' : 학습의 최적화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함수화 되어 있는 패키지임. 05. 'torch.onnx' : Open Neural Network Exchange (ONNX)형식으로 신.. Dynamic Range (DR)와 Gradation (계조)에 관하여 Dynamic Range (DR)이란 영상(image)에서 가장 높은 intensity(밝기)를 가지는 값과 가장 낮은 intensity를 가지는 값 사이의 폭을 의미하며, '명암의 폭' 혹은 '동적범위'라 칭한다. Gradation(계조)은 밝기의 이행단계를 뜻하며 (잘 와닿지 않을 것이다), 어두운 부분으로부터 밝은 부분까지 이어지는 단계의 차이를 뜻하기도 한다 (조금 더 와닿을 것이다). 계조가 좋다고 하는것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가 연속적인 느낌으로 부드럽게 나타남을 뜻하며, 그 차이가 각지면서 층층으로(?) 이산적 분포가 느껴진다면 계조가 좋지 않다고 표현한다. 우리 흔히 접하는 디스플레이(TV, PC, Tablet 등)에서 표현되는 영상의 화질은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을 수록, 계조가.. 과학·기술 발전과 융합혁신 사례에 관한 개인적 견해 *본 자료는 wikipedia 및 여러 기록물들을 참조하여 학술적 수련의 목적으로 개인적 견해를 담은 글입니다.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5세기 이전의 중세시대는 신학 중심의 세상으로, 철학은 신학을 기반으로, 과학은 그 철학을 모태로 구성 및 해석되었다. 당시의 여러 학문분야 (수학, 기하학, 천문학, 음악 등)들은 교회의 신학적 숭배를 주된 목표로 삼았으며, 교회의 지지를 받지못한 학문은 천대와 멸시를 받아왔다. 가장 대표적인 사상으로서 신앙과 이성을 하나의 지성적 체계로 결합하여 만물을 이해하고자 했던 스콜라 철학이 중점적으로 자리잡아, 객관적 사실을 기반으로하는 현시대의 과학 사상은 포용될 수 없었던 과학의 암흑기라고 생각되어진다... 융합과학과 창의성에 관하여 [Ref. 한국 연구재단 융합과학단] 특정 학문 분야에서 기존의 학문적 개념으로 이해, 규명 및 응용하지 못하는 현상들에 대해 여러 학문 분야의 근본적인 개념과 고찰들을 함께 적용하여 통찰력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분야 또는 이를 바탕으로 이해된 현상이나 지식을 인류의 삶에 활용하기 위한 기술 분야를 일컫음. 학제적 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타 분야에 대해 개방적인 다학문 전공의 연구자를 가리킴. "융합과학과 융합과학자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창의성'이다." 수천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인류는 각 시대를 살아가면서 가장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선택들을 통해 지금의 사회를 구축해왔다. 이 선택의 원동력은 개인의 사적인 욕망일 수도 있으며, 사.. What is the 'Convergence'? 그 어느때보다도 빠르게 성장하고 급변화하는 사회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 매일 마주 치는 문제들은 여러 이해관계들이 엮이어 복잡한 상황을 만들어낸다. 사회 및 조직에서 issue가 되는 문제들을 인지하고, 유연한 사고를 바탕으로 최적의 방법을 모색한뒤, 인적화합, 소통, 긍정적 동기부여을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시작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이 물음에서부터 융합 (Convergence)이 시작된 것은 아닌가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이 '융합'이라는 용어에 '과학'과 '기술'이라는 또다른 학술적 용어들이 접목되어, '융합과학기술'이라는 분야가 생겨나기도하는데, 이것은 또 무엇일까? (정의를 내린다는 것이 참 어렵고 신중함을 요하는 작업인것 같다.. MRI란 무엇인가? [Terminology] -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핵자기공명 - MR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자기공명분광법 - MRI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법 [About MRI] 1970년대 후반부터 영국에서 연구개발이 시작되어, 'NMR-CT'라고 불리었으나, 현재 국제 공식명칭은 MRI임. 신체내 조직을 구성하는 물분자의 Proton에 강한 자기장을 가하여 세차운동을 만들고, RF를 가하여 Proton을 고에너지 상태로 들뜨게 한후, RF를 중단함. 이후, 들뜬상태의 Proton이 안정적인 에너지 상태(저에너지)로 돌아가면서 가해준 RF와 같은 형태의 고주파를 방출.. 이전 1 2 3 4 5 6 다음